우연한 기회에 얻게 된 시사회 관람...
영화는 다큐멘터리 영화 '그리고 싶은 것' 이었다.
후기로 남기기에는 너무 말이 조심스러운 영화 이다.
시사회 관람 이후 후기가 늦은 이유도 이러하다.
<시사회 후 감독과의 대화에서 권효 감독의 모습>
이 영화는 한국의 위안부 할머니에 관한 이야기를 그림책으로 만드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 이다.
영화 속 이야기는 그림책으로 만들어 지며 그 대상은 한, 중, 일 삼국의 아이들 이다.
그리고 이 그림책을 만드는 주인공은 바로 권윤덕 작가 이다.
2007년 처음 한, 중, 일 삼국의 작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평화에 관한 그림책을 완성하기로 약속하였고 권윤덕 작가는 위안부 피해 여성인 심달연 할머니의 증언을 토대로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를 그려내기로 결심한다.
동료들의 뜨거운 지지 속에서 작업을 지속하지만 오랫동안 잊고 지냈던 과거의 상처가 그림에 스며들기 시작하면서 예측할 수 없는 상황과 마주하게 된다.
그녀의 그림을 둘러 싼 한국 및 일본 작가들의 치열한 논쟁 속에서 그림책의 완성은 기약 없이 흘러가고 일본 출판사의 무기한 출판 연기 통보는 그녀를 지치게 만들었다.
결국 한국에서는 출판이 되었지만 아직 일본 출판을 기다리고 있는, 현재 진행형 이야기 이다.
돈과 명예 만을 바란다면 좀 더 쉬운 길을 갈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작가는 스스로 어려운 길을 선택했고 그녀만이 할 수 있는 이야기를 풀어 나갔다.
심달연 할머니의 이야기와 그녀의 이야기...
이는 단순히 할머니와 일본에 관한 이야기 만은 아니다.
수 천년 동안 이어온 우리의 역사는 강간의 역사라 해도 다름이 없다.
인간은 집단을 이루면서 집단과 집단 간의 싸움은 물욕 뿐만이 아니라 노동력과 군사력의 기반이 되어 줄 '인간'을 생산해 줄 여성들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그 여성들은 싸움에서 패배한 집단의 여성들로서 충족하게 된다.
노예가 발생한 이유이며 여성을 남성의 성적 전유물로 인식해 온 결과 이다.
이는 단지 일본만을 향한 소리가 아니다.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끌려갔던 많은 조선 여인들이 돌아온 후 화냥년이라는 멍에를 지고 살아야만 했다.
일본군 위안부에서 돌아온 우리들의 할머니들은 어떠했나.
오히려 피해자 임에도 숨어 지내야 하고 부끄러워 해야만 했다.
그리고 우리는 이 할머니들을 제대로 지켜주지 못했다.
일본을 향하면서도 우리 스스로에게 묻는 질문이기도 하다.
단순히 일본에 대한 증오와 한국의 애국심이라는 가치가 아닌 전쟁이라는 폭력에 의해 처참하게 짓밟힌 여성의 삶과 이런 사실들을 그저 잊고 싶어하는 사람들, 그리고 반대로 사실을 지켜 나가며 역사에 기록하고자 하는 이들의 이야기 이다.
작가도 영화에서 이렇게 이야기 한다.
그저 불쌍한 할머니의 인생 극복기 처럼 이야기 되는 것은 싫다고...
여기, 그리고 싶은 것 홍보영상과 또 다른 애니메이션 한편을 첨부한다.
역사의 현장에서 격은 할머니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영상들 이다.
'그리고 싶은 것' 영화의 정식 개봉일은 8월 15일 이다.
사실 개봉을 할 수 있을지, 개봉 한다고 해도 걸릴 극장이 있을지 걱정되지만...
사람들의 관심만이 잊혀져가는 역사를 기억하게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사회 관람이라는 소중한 기회를 준 '또 하나의 가족 ' 제작 팀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My Daily Incident > Movie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3년 최대의 문제작, 김기덕 감독의 뫼비우스 (0) | 2013.09.21 |
---|---|
정보기관이 증거를 조작하는 방법, 영화 이중간첩에서 보다. (0) | 2013.08.28 |
월드워 Z, 모사드가 말하는 반대를 위한 반대 (0) | 2013.06.30 |
아이언맨 3, 방가운 인물 호 잉센 & 미국 히어로물에 대한 단상 (2) | 2013.05.11 |
전설의 주먹 시사회 관람기 (0) | 2013.04.04 |